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남바람꽃 Anemone flaccida F.Schmidt 남바람꽃은 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의 여러해살이풀로 제주도와 남해안 일부지역에만 서식한다.뿌리줄기에서 나오는 줄기는 높이 15-20cm정도이고뿌리잎은 3개로 깊게 갈라지며 갈래조각은 다시 결각처럼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꽃은 4-5월에 꽃줄기 끝에 2~3개씩 흰꽃 또는 연분홍색으로 시기를 달리해서 핀다."뒤태가 아름다운 꽃"으로 꽃잎처럼 보이는 꽃받침은 4~8장이다.남방바람꽃, 봉성바람꽃, 한라바람꽃 등으로도 불렀으나 남바람꽃이 정명이다.희귀식물 멸종위기종(CR)이다.꽃말은 "천진난만한 여인". 더보기
금새우난초 Calanthe sieboldii Decne. ex Regel 금새우난초는 미종자목 난초과 새우난초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잎은 밑부분에서 2~3개가 나와 밑부분이 초상엽으로 싸여 섰다가 점점 벌어지며 주름살이 많고 길이 20~30cm, 나비 5~10cm로서 넓은 타원형이며 다음해 봄에 새 잎이 돋는다.꽃은 4~5월에 피며 황색이고 꽃대는 잎이 완전히 자라기 전에 잎속에서 자라 높이가 40cm 정도로 된다.열매는 삭과이고 밑으로 처진다.멸종위기 1급(CR급)으로 전세계에 약 200종, 한국에는 약 3종이 분포하는데 제주도와 전남 일부 섬 그리고 울릉도에 자생한다.꽃말은 "미덕".올해는 이제야 피기 시작해서 그리 화려하지는 않지만 며칠이 지나면 잘 필 것 같다. 아래는 작년 어느 오름에서 만났던 금새우난초. 더보기
사향제비꽃 Viola obtusa (Makino) Makino 사향제비꽃은 제비꽃과 제비꽃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줄기는 전체에 잔털이 나고 모여난다.잎은 둥근 심장형이고 길이 2-3cm이며 줄기잎은 삼각상 달걀모양이고 탁엽은 우상으로 갈라진다.꽃은 4월에 피며 향기가 있고 연한 홍자색이며 꽃밑 안쪽은 흰색이다.사향(麝香)제비꽃은 꽃에 향기가 나는 제비꽃으로 2009년에 한국식물분류학회제에 낚시제비꽃의 근연종인 털낚시제비꽃으로 실리기도 했다고 하는데 한국제비꽃연구회에서는 사향제비꽃으로 부르고 있다.제비꽃 종류의 꽃말 : '성실','겸양' 더보기
일본붓꽃 Iris japonica Thunb. 일본붓꽃은 붓꽃과의 상록성의 여러해살이풀로 지하경은 얕게 땅 속을 기고 길게 뻗은 포복지를 내어 번식한다. 잎은 2열로 나와 부채모양으로 넓어지는 칼 모양으로 한쪽으로 기울며 양면이 평편하고, 가운데 맥은 두드러지지 않는다. 잎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 광택이 나며 뒷면은 엷은 녹색으로 잎은 다소 육질이다. 4월 중순~5월 중순에 높이 30~70㎝의 꽃대가 나오며 꽃이 총상화서(總狀花序)로 달리고, 한 꽃대에 꽃이 1~2개가 달리며 2~3일간 피어 있다. 꽃은 지름 5~6㎝ 내외로 연한 자주색을 띤 흰색이며 편평하게 핀다.흔히 일본 각지의 마을 주변 음습한 곳과 중국 및 타이완의 숲 속에 무리지어 자라는데우리나라에는 원예종으로 들어와서 키우는데 어느 오름에는 야생화해서 자라고 있다.국가생물종지식시스템에는.. 더보기
좀현호색 Corydalis decumbens (Thunb.) Pers. 좀현호색은 양귀비목 현호색과 현호색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줄기는 덩이줄기 위에 5∼6개의 원줄기와 잎이 나와서 비스듬히 자라고 높이는 10~30cm정도이다.뿌리잎은 3개씩 2∼3회 갈라지고 작은잎은 다시 2∼3개로 갈라지며 거꿀피침형이고 녹백색이다.줄기잎은 보통 2개이며 3개씩 2회 갈라진다.꽃은 4∼5월에 피고 홍자색이며 총상꽃차례에 달린다.열매는 삭과(殼果)이고 염주 모양으로 잘록잘록하며 검은색의 종자가 들어 있다.한방에서는 덩이줄기를 정혈제·진경제 및 진통제로 사용하며 두통·복통 및 월경통에 사용한다.제주도와 중부지방 일부에 분포하며 제주현호색이라고도 한다.현호색의 꽃말은 "비밀""보물주머니".가끔 흰색으로 피는 좀현호색을 만나기도 한다. 더보기
탐라큰개별꽃 큰개별꽃이면서 겹꽃으로 피는 탐라큰개별꽃을 만났다.큰개별꽃은 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 (Pseudostellaria palibiniana (Takeda) Ohwi)인데 이 탐라큰개별꽃은 조금 다른 모양을 한다.탐라큰개별꽃은 2019년 전북대 조현, 김무열에 의하여 한국산 개별꽃속의 분류학적 연구에서 큰개별꽃(Pseudostellaria palibiniana var. palibiniana)의 품종으로 발표되었던 종이다.줄기에 2줄의 털, 화경에 무모, 꽃은 줄기 끝에 하나씩 달리며 암술과 수술이 퇴화되었다는 점이 다르다고 하고 있고"탐라큰개별꽃"으로 국명 신청된 바 있다.​처음 발견된 곳이 제주도여서 "탐라"라는 이름이 붙었는데 최근에는 제주도뿐 아니고 중부이남지역 몇군데서도 발견되고 있다고 하며 국가생물종지.. 더보기
고사리 꺾기 봄이 오면 제주의 들녘은 바빠진다.고사리 꺾기가 시작되는 계절이기 때문이다.4월 초부터 해발이 낮은 지역부터 고사리가 순을 올리기 시작하면 점차 고지가 높은 지역으로 고사리가 돋아난다.예전에는 고사리가 부지기수로 많았는데 지금은 예전의 초지가 개발로 인해서 고사리 밭이 점점 사라져 간다,게다가 고사리를 꺾는 인구는 점차 많아져서 고사리 채취량도 줄어든다.고사리 철이 되면 뱀이 나오기 시작하고 진드기가 많이 나와서 괴롭히기도 한다.그래서 장화를 신고 고무장갑을 끼어야 하며 진드기 기피제를 뿌리고 끝나면 다시 방제약제를 뿌리기도 한다.오늘은 어느 오름 인근의 초지에서 고사리를 꺾었다.가뭄이 심해서 올해는 고사리가 늦게 나오는 편인데 오늘 약 6kg 정도 꺾었다.말리면 약 4~500g 정도 되지 않을까 한다... 더보기
현호색 Corydalis remota Fisch. ex Maxim. 현호색은 양귀비목 현호색과 현호색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덩이줄기는 둥글고 지름 2.5cm쯤이다.줄기는 연하고 곧게 자라며, 비늘잎 아래에서 가지가 갈라지기도 한다.잎은 어긋나며 2~3회 3갈래로 갈라지고, 최종 갈래는 긴 타원상 선형으로 크기가 다양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꽃은  4~5월에 총상꽃차례에 연한 홍자색 또는 보라색 등 여러가지 색으로 5~15 개의 꽃이 핀다. 玄胡索이라는 약명에서 유래한 이름이며 정혈제,진통제 등으로 쓰인다.현호색은 각시현호색, 갈퀴현호색, 괴불주머니, 난장이현호색, 탐라현호색 등 유사종이 30여 종이 되어서 쉽게 구분이 되지 않는 꽃이다.꽃말 :  '비밀''보물주머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