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에서 붉은겨우살이는 흔하지만 겨우살이는 드물다.
어제 성판악으로 사라오름을 가는 길에 만난 겨우살이다.
어제는 날씨가 포근해서 나무에 눈꽃도 없다.
겨우살이는 단향목 단향과 겨우살이속에 속하는 관속식물로 반기생성 상록 떨기나무이다.
참나무속, 밤나무속, 팽나무속, 오리나무속, 자작나무속, 배나무속 등의 식물 줄기에 기생한다.
전체가 새 둥지처럼 둥글게 자라는데 가지는 Y자 모양으로 갈라지며, 노란빛이 도는 녹색이다.
잎은 마주나며, 피침형, 짙은 녹색을 띠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자루는 없다.
꽃은 2~3월에 암수딴그루로 핀다.
열매는 장과이며, 연한 노란색으로 익는다.
식물의 추출액은 백혈병 혈액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데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상용화된 항암제를 추출하는 식물로서 의약용 자원으로서의 가치가 매우 높다.
유사종
▶붉은겨우살이(for. rubroaurantiacum Ohwi): 열매가 적색으로 익고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자란다.
▶꼬리겨우살이(Loranthus tanakae Fr. et. Sav.): 기생식물로서 엽록소가 있는 잎을 통해 스스로 광합성을 하며 뿌리를 숙주나무에 박고 물과 영양분을 섭 취한다.
▶동백나무겨우살이(Korthalsella japonica Engl.): 잎은 퇴화되어 흔적만 남아 있고 많은 마디가 있다.
꽃말은 "강한 인내심".
(아래는 지난 1월 3일 만난 겨우살이)
'나무(목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골나무 Osmanthus heterophyllus (G. Don) P. S. Green (4) | 2025.01.06 |
---|---|
붉은겨우살이 Viscum coloratum f. rubroauranticum (Makino) Kitag. (3) | 2024.12.26 |
보리밥나무 Elaeagnus macrophylla Thunb. (5) | 2024.12.21 |
참으아리 Clematis terniflora DC. (3) | 2024.12.15 |
우묵사스레피 Eurya emarginata (Thunb.) Makino (2) | 2024.12.13 |